무제

낯선 곳에서/etc. 2004. 7. 25. 09:38
서울에서 버스를 타고 1시간 40여분... 고속도로만을 달려서 원주라는 곳에 왔다.
대전 부산 대구 광주 같은 <일상적인 출장>이었지, 새로운 도시는 오랜만이다.
일상 속에서 한 달에 몇 번이나 새로운 곳에 갈까.
매번 집 - 회사와 가던 술집, 가던 밥집 뿐인걸.

원주는 이름을 많이 들어서 도회지일 것 같았는데,
막상 가보니 한적한 시골내음이 짙다 - 물론 시내쪽은 못 가보았다.
허름한 시외버스 터미널, 택시 기사 아저씨의 여유,
사무실에서 웃통 벗는 아저씨. 작업 나온 아저씨의 어색한 넥타이.....
버스 터미널은 모랄까, 동남아의 한 모퉁이라는 기분이 드는 건 왜일까.
(서울이 90년대풍의 세련됨으로 치장된 것에 비해, 원주는 최소한 그러치 않다는 이야기이다.)
춘천으로 갔다.
춘천은 어릴 때 영화보러, 옷사러 오는 - 그러한 놀이터였다.
덕분에 춘천은 빠삭했다 - 명동 육림극장 공지천 어린대공원 소양강댐...
하지만, 도청은 처음이었다.
그리고 그 도청은 한가로움에 놀랐다.
고성처럼 조용히 자리를 지키고 있고, 도청 앞 건널목에는 신호등도 없다.



생각해보면, 모든 일은 번잡함에서 생기고, 그것은 사람이 많아야 생기는 것이다.
버스 노선 개편, 지하철 파업 같은 일들은 서울 사람들만 겪는 일이다.
또한, 지방이 주는 한적함에 비해 서울은 웬지 쉬는 날도 무엇에 억압되어 있다.
왜대도시를 벗어나면 이렇게 한가롭고 여유로워 지는지.
그리고도, 모든 일상을 도시에서 겪는지.
어디 내천이 있는 산에 집지어놓고 살았으면 좋겠다.
하늘과 구름, 산과 강, 나무가 주는 자연의 기본적인 혜택을 받으며 살아가고 싶다.
b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