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월남 통신은 10개나 쓰면 많이 쓸 것 같았는데,
어느 덧 12개가 되었다.


배낭여행이 패키지 관광과 다른 것은,
남들이 보여주는 부분을 보는 것이 아니라,
내가 보고 싶은 부분을 본다는 것이다.

배낭여행을 하다보면 갈 곳은 많고, 시간과 돈은 없고...
결국 갈등을 하게 되는데... 여길 가야 하나 절 길...

하지만, 저것은 초보여행자의.
누군가의 인도여행책을 보면 이런 이야기가 나온다. 매일 아침 식당 주인이
무얼보고 왔냐고 물어본단다. 이런저런 이야기를 하다가,,,
하루는 할 일도 없고 그래서 어디가서 <사람을 본다>라고 했더니,
주인이 자네 여행을 제대로 하네라고 했다나 머래나...





[골목은 보면 모랄까, 그곳까지 들어가보고 싶다]


10일간의 태국의 여행보다도, 5일간의 필리핀 여행이 휠씬
인상적이었던 것은 잘못 찾아간 길에서 보았던 <사람들>때문이다.
나스부그라는 휴향지를 손바닥만한 정보를 보고 찾아갔는데,
태국 <코 싸멧>의 열대 바다를 기대했던 나에게
더러운 해변과 넘실대는 검푸른 물은 실망이었다.

선착장을 찾아가던 나는 길을 헤메어,
그곳 사람들의 골목길을 죽 통과했던 적이 있다.
아주 가난한 사람들이었다.
구멍가게에는 국민학교 책상만큼 물건이 있었고,
열린 아주 작은 방에는 사람들이,
일없는 남자들이 놀고 있었다.
마치 희망의 원색은 날아가고,
절망과 불행의 흑백만이 남아있는 것 같았던...


마치 흑백필름 같은 그곳을,
붉은 배낭과 어제산 파란 청바지를 입고 지나가는 나를
모든 사람들이 처다보았다.
첨에는 마치 흑인소굴에 들어온 듯 겁이 났지만,
나의 생각이었을 뿐,
그 누구도 나에게 무엇하나 말하거나 손가락질 조차 하지 않았다.
그저 외국인이 그것도 골목까지 왔으니,
신기해서 처다볼 뿐이었다.

한동안 저 기억에서 벗어나질 못했다.
저렇게 사는 사람들이 있고, 나처럼 사는 사람들이 있다니...
같은 지구에서 같은 땅에서 태어나서,
무슨 죄가 있길래 그들은 저렇게 살고 있을까.
대체 윤회라는 것이 있는가?




[숙소 앞 방카오의 골목은 필리핀 보다는 휠씬 좋다.
그래서 그나마 사진찍기가 미안하지 않았다.]



며칠전 저녁, 할 일 없이 있다가 시장 구경을 가다가,
무심코 동네 골목에 들어가 보았다.
이제까지는 사람들이 오토바이 타는 모습만 보았는데,
그곳에 가니 오토바이를 자전거를 내린 사람들의 모습이 있었다.
낡은 아파트와 가난한 사람들,
그곳을 뛰노는 사람들, 한가한 노인들...

골목을 누비고, 시장에 가고, 길거리를 택시가 아닌 발로 걷고,,,
이렇게 해야 내가 이 동네에 와본 것 같다.
이 곳 번화가까지 가는 길이 머리에 있어야 한다.
그러면에서 하이퐁은 나의 몇 번째 고향이 될 것이다.
한동안 하이퐁에서 걷던 길을 기억할 것이고,
골목과 함께 사람들을 기억할 것이다.




언제나 느끼는 것이지만,
이 사람들이 못사는지 불행한지 행복한지 잘 모른다.
하지만, 웬지 미안해서 쉽사리 사진을 찍지는 못한다.
여기에 올리는 사진도 큰 맘 먹고 찍은 것이다.

(물론 대부분은 사진을 찍으면 좋아하고,
은근히 찍히고 싶은 마음이 있는 것 같지만,
나의 생각인가... 그들은 자신의 저러한 모습을 보이기는 꺼리는 것 같기도 하고...
시장 같은 곳에서 셔터 몇 번 누르면 지나갈 때마다
사람들이 모두 나만 본다-.-;;;)





월남에서 쓰는 마지막 월남 통신은
이런 식의 끝맺음을 정말 싫어하지만
웃기게도 <희망>이라는 말로 끝내고 싶다.

대체 이곳에 무슨 희망이 있는지는 나도 모른다.
계속적인 산업발전이 이들에게 행복을 줄지 아닐지도 미지수다.
하지만, 이들이 나에게 보여준
그 순수함과 미소를 잃지 않는다면,
베트남은 행복지수 1위의 나라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으로 향하는 나는 사람들의 미소와 순수,
그리고 푸른 하늘과 뭉실뭉실 뭉개구름을 가지고 집으로 간다.

바이바이 하이퐁, 바이바이 베트남.
내가 또 언제 네게 올 수 있으리...
쌀국수 마인다꾸어여 안녕,
썬 플라워 수영장이여 안녕,

...사진과 월남 통신으로 널 기억하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