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자수가 있고, 맑은 하늘이 있는 열대의 여름은
정말 아름 답지만,

[아침에 찍은 콘도식 호텔 sunflower.]
정말 덥습니다-.-;;;
아침부터 푹푹 처대기 시작하는데,
조금만 걷거나 움직여도 땀이 줄줄 납니다.
그래서, 낮에는 움직일 엄두를 내지 못합니다.

[bikegirl - 점심시간. 너무 뜨거워서 타지 않기 위해
완전 무장(?)을 하곤 한다.]
우리보다 2시간 시차가 느린 이곳은 7시가 되면 깜깜합니다.
여름밤이 일찍 오는 것이죠. 햇볕이 없으면 그런대로 살만합니다.
그리고, 이런 열대의 밤은,,,
이곳 생활의 꽃입니다.
어제는 도선비치라는 곳에 갔습니다.
하이퐁에서 차로 30분 걸리는데, 해변이기는 해도,
누런 바다물이-.-;;; 정녕 놀라운 곳이죠.
지난 번에 낮에 갔을 때는 굉장히 실망스러웠는데,
어제 밤에는 와우!!! !!! !!!
우리가 간 식당은 바다를 끼고 있는 야외 테이블이었습니다.
바다를 옆에 끼고,
바닷바람을 맞으며, 파도소리를 들으며,,,
이곳 사람들과 저녁과 술을 마셨습니다.

[테이블에 앉아 찍은 밤의 도선 비치.
뒤편에는 베트남식 사창가가 있다.]
술을 못하시는 분들은 힘들겠지만,
여기 사람들을 술마시는 일을 <굉장히> 즐깁니다.
물론 몇몇 서양애들을 빼고는 다들 술을 좋아하지만,
술을 즐기는 방법은 분명 베트남과 우리는 상통합니다.
술자리를 즐긴다기 보다는 술을 즐긴다고 할까요.
어제는 40짜리 와인을 가지고 와서는 소주잔보다 작은 잔에 부어서는
적당히 원샷을 했습니다.
여기서는 원샷이라는 말 대신 <모짜이>나 <100%>라는 말을 씁니다.
술이라는 것이 그런 것 같습니다,
말이 통하지 않아도, 적당히 몸짓과 이국의 말로서,
서로를 친근하게 만들어 줍니다.
술이 들어가자, 바다소리는 더욱 선명하게 들리고,
검은 바다를 누런 바닷색을 검게 해주었고,
바람이 심하게 불자, 파도도 거세지고......
,,,
또한, 술은 그리운 사람을 더욱 그립게 만듭니다.
한국에서 저를 기다리는 사람이 있고,
저 역시 이곳에서 기다리고 있습니다,,,
정말 아름 답지만,

[아침에 찍은 콘도식 호텔 sunflower.]
정말 덥습니다-.-;;;
아침부터 푹푹 처대기 시작하는데,
조금만 걷거나 움직여도 땀이 줄줄 납니다.
그래서, 낮에는 움직일 엄두를 내지 못합니다.

[bikegirl - 점심시간. 너무 뜨거워서 타지 않기 위해
완전 무장(?)을 하곤 한다.]
우리보다 2시간 시차가 느린 이곳은 7시가 되면 깜깜합니다.
여름밤이 일찍 오는 것이죠. 햇볕이 없으면 그런대로 살만합니다.
그리고, 이런 열대의 밤은,,,
이곳 생활의 꽃입니다.
어제는 도선비치라는 곳에 갔습니다.
하이퐁에서 차로 30분 걸리는데, 해변이기는 해도,
누런 바다물이-.-;;; 정녕 놀라운 곳이죠.
지난 번에 낮에 갔을 때는 굉장히 실망스러웠는데,
어제 밤에는 와우!!! !!! !!!
우리가 간 식당은 바다를 끼고 있는 야외 테이블이었습니다.
바다를 옆에 끼고,
바닷바람을 맞으며, 파도소리를 들으며,,,
이곳 사람들과 저녁과 술을 마셨습니다.

[테이블에 앉아 찍은 밤의 도선 비치.
뒤편에는 베트남식 사창가가 있다.]
술을 못하시는 분들은 힘들겠지만,
여기 사람들을 술마시는 일을 <굉장히> 즐깁니다.
물론 몇몇 서양애들을 빼고는 다들 술을 좋아하지만,
술을 즐기는 방법은 분명 베트남과 우리는 상통합니다.
술자리를 즐긴다기 보다는 술을 즐긴다고 할까요.
어제는 40짜리 와인을 가지고 와서는 소주잔보다 작은 잔에 부어서는
적당히 원샷을 했습니다.
여기서는 원샷이라는 말 대신 <모짜이>나 <100%>라는 말을 씁니다.
술이라는 것이 그런 것 같습니다,
말이 통하지 않아도, 적당히 몸짓과 이국의 말로서,
서로를 친근하게 만들어 줍니다.
술이 들어가자, 바다소리는 더욱 선명하게 들리고,
검은 바다를 누런 바닷색을 검게 해주었고,
바람이 심하게 불자, 파도도 거세지고......
,,,
또한, 술은 그리운 사람을 더욱 그립게 만듭니다.
한국에서 저를 기다리는 사람이 있고,
저 역시 이곳에서 기다리고 있습니다,,,
Anik
베트남은 인도차이나 반도의 오른편에 길게 뻗은 나라입니다.
그 길이가 1500km나 되고, 기차를 타고, 북의 하노이에서 남의 호치민까지 3박 4일이나 걸린다고 합니다. 지역마다 특징이 있을 텐데요, 하이퐁에는 넓적한 녹갈색의 <마인다꾸어>라는 쌀국수가 있답니다. 광린 지역 사람들은 특히나 술을 좋아합니다. 얼마큼 술을 좋아하느냐면, 점심시간에도 박스로 맥주를 마시고, 저녁에는 <루어모이> 술을 몇 병이나 들이 마신다고 합니다. 머 우리나라 사람들도 술을 마시면 코가 삐뚤어지게 마시는데,... 하지만, 이 사람들은 한 수 위라고 합니다. 4명의 특공대(?)를 보냈는데, 3명이 쓰러져 왔다고 합니다-.-;;; 이런 자자한 광린 소문을 들으며, 하이퐁을 출발했습니다. 길을 가다가 차와 배를 2번이나 타면서 2시간 반걸려서 광린의 하롱 시티에 도착했습니다. 하롱은 유네스코 지정의 자연으로 유명하죠. 삼천여개의 작은 섬이 아기자기하게 펼처져 있다고 합니다. 도착해서, 일을 조금 하다가 점심을 먹으러 갔습니다. 사실 간단한 일이 제대로 안되어서 안 먹으려고 했는데, 이 곳 전화국장의 점심초대라서 그냥 갔습니다. 아니나 다를까, 앉자 마자 술을 따릅니다. 이곳 맥주는 시하시 (냉장)이 잘 되지 않아서, 거품이 많이 일어납니다. 암튼 한 잔 가득 채우고, 자 이제 건배를 합니다. 그냥 하느냐? 아닙니다, 무슨 연설 같은 것 필요없습니다-.-;;; 다 같이 일어나서 건배합니다,,, 그리고, 그렇습니다, 첫잔은 다 비우는 것 입니다. 그리고, 이제 <폭격>이 시작 됩니다. 그날 저는 첨 방문이라 사람들의 융단 폭격입니다. 한국처럼 와서는 한잔 마시는데, 무조건! 모짜이! 즉,원샷~입니다. 연거퍼 큰 잔으로 4잔 정도 마셨습니다-.-;;; 그리고, 또 마셔서 맥주를 그날 꽤나 마셨습니다. 저녁이 아니라, 점심입니다-.-;;; 역시 광린! 스타일대로 마시는군요. 이렇게 술을 마시는 동안, 먼저 몇 가지 전체가 나오고, 구운 새우가 나오고, 게가 나왔고, 밥과 국이 나왔습니다. 술을 마시다가 요리는 거의 안주로-.-;;; 맥주는 약과라고 합니다. 사실 45도짜리 <루어모이>가 있는데, 그걸 우리가 들이 붓는다고 합니다. 소주 잘 마시는 사람들도 그 술 이름만 대면 혀를 대두릅니다, 하두 당했서-.-;;; 점심시간이 얼마나 긴데 이렇게 마시냐구요? 여기 사람들은 11시 30분 정도면 밥 먹을 준비를 하고, 2시까지 먹습니다. 들리는 이야기로는 집에 가서 먹고 자기도 하고, 식당에서 먹고, 알아서 디비 잔다고 합니다. 저희들도 일하다가, 숙소에서 밥 먹고 자기도 하고 쉬기도 한답니다. 그럼 이 나라 사람들이 게으르냐구요? 글쎄요, 절대 아닙니다. 제가 본 이 나라 사람들을 말씀드릴께요,,, 이들의 일은 8시부터 시작됩니다. 요즘 같은 날도 8시면 여기는 굉장히 뜨겁습니다. 우리나라 8월의 한낮의 그것입니다. 그리고 11시 30분이명 점심 시간이 시작되고, 점심에 낮잠을 잡니다. 대부분의 오전에 하고, 2시부터 5시까지는 그럭저럭 시간을 보내는 듯한 느낌입니다. 우리나라와는 반대입니다. 일하는 모습도 그리 바쁘지도, 급하지도 않습니다. 공산주의 국가여서 바쁠 것이 없기도 한 것 같고, 더운 나라여서 여유가 있는 것 같기도 하고... 그보다는 아직까지는 일상에서 시간이나 날짜에 쫓기지는 않는 듯 합니다. 이렇게 아둥바둥 살지않는 이들이 부럽습니다. 낮에도 술을 마시며 즐겁게 살아가는 이들이 부럽습니다. 물론 이런 것들도 일부의 이야기 겠지요. 허긴 제가 이 나라의 모든 사람들을 만난 것도 아니고, 가난하고, 고생하는 사람들은 만나보지도 못했으니까요. 여행자가 아닌, 일상을 현지에서 보낸다고 하지만, 외국인 전용 숙소에서 외국인들과 같이 보내고, 뿌띠엔이라는 이곳에서도 좋은 직장에 있는 사람들과 있고, 현지 뉴스나 소식을 전혀 듣지 않으니 알 수가 없지요. 어찌하였거나, 광린 사람들은 술을 굉장히 좋아합니다. 우리처럼 술 마시는 것을 좋아하고, 술을 좋아하는 만큼이나 정이 많습니다. 술을 마시며 생긴 정이겠죠? 사진 위) 강을 건널 배에 타는 사람들. (아침) 아래) 배를 기다리는 사람들. (저녁) ![]() ![]() <첫>이라는 말은 설레임을 동반합니다. 첫사랑, 첫눈 이런 말만 들어도..... 이번에 베트남에 두 번째 오면 느낀 것은 <두 번째>라는 말은 편암함을 동반한다는 것 입니다. 다시 내린 하노이 노이바이 공항을 편하게 나와서는, 일행을 만났고, 여유있게 경치를 볼 수 있었습니다. 열대의 더위도 놀랍지도 않았고, 거리의 오토바이도 일상스러웠습니다. 그리고, <린>과 <티엔>이라는 우리와 같이 일하는 베트남 젊은이들을 만났습니다. 지난 번에 면접을 보았던 사람들로, 우리팀이 올해 말에 떠나면, 내년 1년 동안 장비에 대한 AS를 책임질 사람들 이거든요. 우왕, 근데 그들은 저를 Mr.Living Here이라고 부르는 겁니다@.@;;; 아하, 이야기를 듣고 보니 ㅋㅋㅋ, 그럴만 하네요. 그러니까, 제가 지난 번에 와서 부디엔 하이퐁 (하이퐁 전화국)에서 교육을 하고, 숙소에 들오왔을 때 입니다. 헝, 우리방 105-102에 들어왔는데,,, 현지인 5명이 마구마구 웃으면 떠들고 있습니다. 노크도 없이 들어갔는데, 미안하기 전에 얼마나 놀랬는지, 미안하다는 말을 남기며 나왔습니다. 방을 확인했습니다, 분명히 맞습니다. 다시 들어가서 말했습니다, 그래서 그때부터 제 별명은 Mr.Living Here가 되어버렸답니다. 그때, 남자 1, 여자 3명이 면접을 보았는데, 그중 남자가 티엔이고, 여자가 린 입니다. 현지에는 한국사람 10명과 현지인 2명, 이렇게 12명이 한 마음으로, 하이퐁, 하이쩡, 광린 이렇게 3 지역에 ADSL을 설치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있을 한 달여 시간동안, 베트남에서 사람들과의 일들과 느끼점을 <베트남 통신>이라는 이름으로 올리겠습니다. 그럼, |